반응형

주요 내용

 

치쿤구니야열은 “구부리는 것”,  “구부려서 걷다”, “비꼬이다”를 의미하는 마콘데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질환이다. 노출 뒤 2일~4일에 갑작스러운 발열이 뚜렷한 특징이다. 발열은 보통 2일에서 7일 동안 지속되며 관절통이 전형적으로는 몇 주나 몇 달 동안 지속, 때로는 몇 년 동안 수반된다.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노인에서 대부분 심한 부작용을 지니는 경향이 있으며 사망률은 1/1000에 조금 못 미친다.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와 흰 줄 숲모기(Aedes albopictus)가 사람에게 전달하며 동물 자연 숙주(Natural reservoir)는 원숭이, 소, 설치류를 포함한다. 영장류가 유일한 숙주인 뎅기열과는 대조된다. 2014년 이후로 아시아, 아메리카, 유럽에서 관찰, 2013-2014년 치쿤구니야열 유행을 일으켰다.

 

치쿤구니야열의 병원소 및 전파경로

 

병원소는 모기, 사람 및 영장류이며 매개체는 숲모기류인 이집트숲모기와 흰 줄 숲모기 등이다.

전파경로는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혈액을 통한 전파(장기이식, 수혈 등)이다.

 

주요 증상

 

잠복기는 1~12일이지만 일반적으로 3~7일이다. 감염된 사람의 72~97%가 증상을 나타내며 주 증상으로는 급성 발열, 관절통, 근육통, 두통, 관절 부종 또는 발진이 있으며 피로가 수주까지 지속된다. 뇌수막염, 심근염, 길랑-바레 증후군, 뇌신경마비, 눈 질환(포도막염, 망막염)과 골수염, 급성신질환, 간염 등 중증 합병증이 있으며 치사율은 극히 낮다.

 

바이러스성 단계: 바이러스 혈증(Viremia)이 일어나는 처음 5일에서 7일 동안 지속되는 단계

회복기 단계: 증상이 개선되어 바이러스가 혈중에 감지될 수 없고, 약 10일 동안 지속되는 단계

 

발열

 

며칠에서 한 주간, 때로는 10일까지 지속되는 갑작스러운 고열로 시작된다. 발열은 보통 39 °C를 넘고 때로는 40 °C에 도달하며 여러 날동안 지속된다. 발열은 바이러스 혈증과 함께 일어나며 혈중 바이러스 수준은 급성기 증상의 강도와 상관되어 있다.

항원(Antigen)에 처음 노출되는 것에 대한 반응인 항체 면역글로불린 M이 혈중에 나타날 때 바이러스혈증은 감소하기 시작하지만 불면증과 두통, 극심한 수준의 탈진이 5일에서 7일 정도 잔존한다.

 

관절통

 

발열에 잇달아 강한 관절통이나 경직이 일어나는데,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지만 보통은 몇 주에서 몇 달 동안 지속된다. 관절통은 87~98%의 증례에서 보고 되었으며 영향받은 관절은 팔과 다리 양쪽에 자리 잡고 있고 대칭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골관절염과 같은 질환에 손상된 적이 있으면 더 영향을 받으며 통증은 대부분 손과 발의 관절들, 손목, 발목 및 전형적으로 어깨 팔꿈치, 무릎의 더 큰 몇몇 관절과 같은 말초 관절에서 일어난다. 통증은 근육과 인대에 일어날 수도 있다.

 

 

손목통증/픽사 베이

 

발진

 

발진은 일반적으로 증상 발병 후 2일에서 5일째에 일어나는 반구진 발진(Maculopapular rash)으로 40~50%의 증례에서 나타난다. 오심, 복통, 구토 혹은 설사를 포함한 소화기 계통 증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드물게 눈의 염증이 홍채섬모체염(iridocyclitis), 망막 병변(retinal lesion), 포도막염의 형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신경계 장애

 

길랑-바레 증후군, 수막뇌염(Meningoencephalitis), 마비,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 말초신경병증을 포함한 신경계 장애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바이러스성 출혈열

 

뎅기열과 대조되게 치쿤구니야열은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합병증은 거의 유발하지 않는다. 

 

환자관리 및 예방

 

환자관리

 

환자 및 접촉자에 대한 격리는 필요 없다.

 

치쿤구니야열 예방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을 방지한다. 

전 세계 110개국 이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파라과이,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에서 대규모 환자 발생이 확인되어 미주지역에 경보가 발령(’23.2.13.) 되었으며 동남아시아의 필리핀, 태국 등에서 다수 환자가 발생했다.

 

만성 질환

 

치쿤구니야열이 급성 감염에 잇달아 장기간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제기되었으며 만성적 치쿤구니야 바이러스유발 관절통(chronic chikungunya virus-induced arthralgia)이라고 일컬어진다.

 

현재 만성 증상의 원인은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자가면역 및 류머티즘 질환의 표지자는 만성 질환을 보고하는 사람들에게서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초 발병 후 3개월 동안 질병의 재발성 증상을 겪는 사람의 근생검에서 바이러스의 항원이 감지되었다. 또한 최초 감염 후 18개월 동안 근육골격계통의 재발을 경험하는 사람의 윤활 관절(Synovial joint)의 대식 세포에서 바이러스 항체와 바이러스 RNA가 발견되었다.

 

치료법

 

특별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휴식과 수분 공급 및 발열과 관절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투약을 포함한 보조 요법(supportive care)이 권장되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주요 내용

 

뎅기열은 영어로 dengue fever이며 모기가 매개가 되는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에 의해 발병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이다. 강한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영어로는 "break bone fever"라고도 부른다.

 

뎅기열은 129개국에서 매년 1억 명 이상이 감염되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여행지인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뎅기열 개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토착화된 뎅기열은 세계의 열대·아열대 지방에 널리 퍼졌으며 말라리아와 함께 대표적인 열대병으로 알려져 있다. 열대지방 중에서도 위생시설이 잘 갖추어져 말라리아가 거의 퇴치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나 싱가포르에서도 종종 유행하고 있으나 하절기에 종종 말라리아가 유행하는 온대 지방에서는 뎅기열을 거의 볼 수 없다.

 

현재 전 세계에서 뎅기열 감염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만 15억에서 25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후변화로 모기의 서식지와 서식 기간이 늘어나면서 뎅기열 감염 위험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병원소 및 전파경로

 

병원소는 모기, 사람이며 매개체인 숲모기류를 통해 전파된다. (뎅기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흰줄숲모기가 사람을 물어 발생한다.)

 

전파경로는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되며 주산기감염, 수직감염, 혈액을 통해 전파(수혈, 장기이식 등)된다.

 

 

Aedes albopictus 흰줄숲모기/픽사 베이

 

주요 증상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뎅기열, 뎅기 출혈열, 뎅기쇼크 증후군 등으로 진행되며 잠복기는 5~7일이다.

 

발열기(Febrile phase)

 

일반적으로 2~7일 정도 지속되며 심한 두통, 안와통증, 근육통, 관절통 및 뼈 통증, 홍반 및 반구진 발진, 출혈성 반점, 자반병, 구강출혈 등이 나타난다.

 

급성기(Critical phase/Plasma leak phase)

 

해열 이후부터 1~2일 정도 지속되며 4일까지 진행된다.

대부분의 환자는 이 시기에 회복되지만 일부는 중증 뎅기열로 진전된다. 흉막 삼출, 저단백혈증, 복수, 혈액농축을 동반하며 쇼크상태가 지속된 경우 환자들은 심각한 출혈성 징후(토혈, 하혈, 혈변등)를 보이며 드물게는 간염, 췌장염, 심근염뇌염이 발생한다.

 

회복기(Recovery or Convalescent phase)

 

발진은 피부가 벗겨지거나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뎅기열/픽사 베이

 

뎅기열 치사율

 

치사율은 약 5%이며 조기 치료시 1%, 치료가 늦어진 경우 20%이다.

 

환자관리 및 예방

 

환자 혈액 및 체액은 격리하며 접촉자 관리는 필요 없다.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을 방지한다.

반응형
반응형

주요 내용

 

소아마비는 영어로 Polio, Poliomyelitis, Infantile Paralysis라고 하며 폴리오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 0.5%의 경우 근육 약화 결과로 수 시간에서 수일 내에 이완성 마비에 걸린다. 주로 다리 근육이 마비되며 드물게 얼굴, , 횡격막이 마비되지만 많은 사람들은 완치된다.

 

소아가 흔히 걸렸으므로 소아마비라는 병명이 붙었으며 더러운 물을 매개로 전염된다. 처음에는 콜레라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콜레라처럼 대변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가 입을 통해 체내로 침입한다.

 

통계로 보는 증상

 

1. 2~5%의 어린이와 15~30%의 성인이 근육 약화를 겪은 후 사망한다.

2. 25%의 경우 미열이나 인후통 등 경미한 증상만 겪고 회복한다.

3. 5%는 두통, 목 경직, 팔과 다리의 고통을 겪으나 1~2주 내로 정상으로 돌아온다.

4. 70%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5. 회복으로부터 수년 후 소아마비 초기 증상과 유사한 근육 약화 등이 나타나는 후소아마비 증후군이 찾아올 수 있다.

 

감염 경로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주로 전파되며 드문 경우 감염된 에 의해 오염된 음식이나 음식을 통해 전염된다.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거의 6주 동안 바이러스를 퍼트리고 다닐 수 있으며 대변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거나 혈액에서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으며 자연에서 사람만 감염된다.

 

소아마비 백신 

 

소아마비 백신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나 여러 번 접종해야 효과가 있다. 미국질병통제센터는 소아마비 유행국을 방문할 경우 소아마비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장하며 특별한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1988년에 35만 명이 자연에서 소아마비에 감염된 반면, 2018년에는 33명이 자연적으로, 104명이 백신으로부터 감염되어 그 빈도가 매우 낮아졌다. 2018년에 감염된 환자는 모두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나왔으며 2019년에는 175명이 자연적으로, 364명이 백신으로 인해 감염되었다.

 

소아마비는 고대의 예술작품에서도 묘사될 만큼 오래된 질병이다. 영국인 의사 마이클 언더우드가 1789년에 처음으로 소아마비를 별개의 질병으로 분류하였으며 바이러스는 오스트리아의 면역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 면역학자가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19세기 유럽과 미국에서 주요 유행병으로 나타나기 시작해 20세기에는 가장 대표적인 소아질환으로 분류되었고 첫 번째 소아마비 백신은 조너스 소크가  1950년대에 개발하였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는 초기 발견과 예방접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2018년에 근절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감염환자는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법정감염병에서는 2급 감염병으로 분류되었다.

 

소아마비 병리학

 

폴리오바이러스는 입을 통해 신체로 침투하여 처음 만나는 세포인 인두와 위장관 점막을 감염시킨다. 바이러스 침입은 세포막에 있는 폴리오바이러스 수용체인 CD155에 결합하여 숙주 세포의 내부 소기관들을 통해 복제 및 조립을 하기 시작한다.

 

폴리오바이러스는 위장관에서 대략 일주일간 증식한 뒤 편도 배중심에 존재하는 여포성수상돌기세포로 전파되며 파이어판, 목심부 림프절, 하부장간막 림프절의 M세포 등 위장관 주변 림프절에  감염되어 다시 증식, 이후 혈액으로 이동한다.

 

바이러스가 혈액 속에 존재하는 경우를 바이러스 혈증이라 하며 몸 구석구석으로 전파된다. 폴리오바이러스는 혈액과 림프액 등 순환계통에서 17주까지 생존하며 드문 경우 단핵식세포 조직, 갈색지방, 근육 등의 장소에서도 전파되어 증식한다.

 

바이러스혈증이 심각해지면,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증상도 나타난다. 중추신경계통으로 침투한 바이러스가 염증반응을 일으켜 수막염을 국소적으로 유발할 수 있으며, 비마비성 무균성 수막염(nonparalytic aseptic meningitis)의 형태로 나타난다.

 

중추신경계통에 침입함으로써 바이러스가 얻는 이익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으며, 위장관 감염의 부수적 현상으로 추정한다. 소아마비는 나이, 성별, 사회경제적 위치와 무관하며 우연히 일어난다.

 

예후 

 

심할 경우 생명을 잃고, 후유증으로 다리 등의 마비가 오기 때문에 소아마비 장애인들은 휠체어나 목발을 이용한다. 1950년대 개발된 예방백신이 보급되면서, 2000년대 현재 발생률이 많이 떨어졌으며 신경계를 침범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국제사회와 각국은 소아마비도 천연두처럼 뿌리 뽑힐 것으로 기대하면서 소아마비의 박멸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소아마비 장애인에 맞게 만들어진 자동차가 있어 소아마비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똑같이 정상적으로 자동차 운전을 할 있다.

 

소아마비 걸린 승리자

 

32대 미국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는 39세였던 1921년에 소아마비에 걸려 마비 증상이 나타났다. 루스벨트는 다시 걸을 수 있기를 꿈꿨지만 짧은 거리밖에 걷지 못했고, 그마저도 양쪽 다리에 보호구를 장착해야만 가능했다. 1933년에 대통령이 되자 소아마비 질병을 최소화하려는 많은 노력을 했다.

 

수백 명의 소아마비 생존자와 어린이 환자의 부모가 그에게 편지를 썼다. 루스벨트는 모두에게 답장을 써서 그들이 용감한 싸움을 하고 있다며 격려하고 대단한 용기와 결의를 칭찬했다. 

루스벨트는 소아마비 생존자를 돕는 여러 자선사업을 지원했다. 월스프링스재단을 설립하여 스프링스 제원 warm Spring Inuinte for Behabilitation에 자금을 댔으며 1926년에 조지아주 스프링스의 토지 약 147만 평을 매입하여 소아마비 후유증을 앓는 사람들을 위해 진정한 낙원을 조성했다. 

 

루즈벨트대통령/픽사 베이

 

 

반응형

'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쿤구니야열(Chikungunya Fever)  (0) 2023.05.29
뎅기열(Dengue Fever) 알아보기  (0) 2023.05.28
엠폭스 6번째 환자 발생  (0) 2023.04.09
조류인플루엔자(조류독감)  (0) 2023.04.02
장티푸스 이야기  (0) 2023.04.01
반응형

엠폭스 주요 내용

 

1. 정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

2. 잠 복 기:  5~21(평균 6~13)

3. 임상경과 및 주요 증상

-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요통 및 근육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 코막힘, 인후통, 기침 등과 같은 증상

- 보통 1~4일 후에 발진 증상이 나타남.

- 특정부위인 항문생식기에 발진 수가 5개 미만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항문직장 통증, 항문궤양, 구강 점막 궤양, 안구 통증, 이급후증 등을 동반하는 사례 다수 보고

- 발진은 얼굴, 발, , 입, 가슴, 항문생식기 근처 등에서 나타남.

- 전구기(3~5일 간): 전염력이 강한 시기

4. 진 단: 검체는 피부병변조직, 피부병변액, 가피, 구인두도말, 혈액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5. 치 료: 대부분 자연치료 또는 대증치료를 하며 필요시 항바이러스제(테코비리마트) 치료 

6. 환자 관리: 표준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준수

7. 예방접종: 3세대 두창 백신은 효과성이 입증

8.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1) 감염된 사람 또는 동물과의 직간접적 접촉 피하기

2) 감염된 환자가 사용한 물품과의 접촉 피하기

3) 비누와 물로 손을 씻거나 알코올 성분의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깨끗이 하기

4) 엠폭스 발생국을 여행하는 경우, 동물과의 접촉 피하기

 

6번째 환자 경과

 

1. 43일 의심증상으로 의료기관에 내원한 내국인

2. 진료 의료기관에서 다른 감염병 검사를 우선 시행, 음성 확인 후 추가적으로 엠폭스 감염을 의심하여 46일 관할 보건소로 신고

3. 신고에 따라 질병관리청에서 즉시 진단 검사를 실시,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되어 확진 환자로 판정

4. 현재까지 우리나라 엠폭스 환자는 6명 발생, 5명의 환자는 해외유입 연관성이 있는 환자

- 모두 합병증 없이 퇴원, 접촉자 중 추가 확진자는 없음.

5. 6번째 환자는 병원에 입원 중이며,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 증상이 회복될 때까지 입원·치료 예정

6. 신속한 현장 대응을 통해 확진자 동선 확인과 접촉자 조사를 질병관리청에서 시행 중이며, 확인된 접촉자는 노출 수준에 따라 관리할 예정

7. 엠폭스 발생국가 방문력이나 의심환자 밀접접촉 등의 위험요인과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상담해 줄 것을 당부

8. 의료진에 대해서는 엠폭스 의심환자 진료 시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감시와 신고에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

 

 

엠포스/질병관리청

 

 

엠폭스/질병관리청

반응형

'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뎅기열(Dengue Fever) 알아보기  (0) 2023.05.28
소아마비의 증상과 예후  (0) 2023.05.06
조류인플루엔자(조류독감)  (0) 2023.04.02
장티푸스 이야기  (0) 2023.04.01
나병(한센병) 알아보기  (0) 2023.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