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 내용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한 코로나19의 위기경보 수준이 우리나라에서는 2023년 6월 1일부터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된다. 이러한 대유행은 많은 경각심과 대처 방법을 알려주었지만 코로나19 이전부터도 다양한 감염병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가 변화하고 감염병 또한 변화함으로 관련 내용을 공부하고  감염병의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기후변화

- 변화하는 지구

- 변화하는 감염병

- 지구 기온 상승과 뎅기열

- 지구와 감염병을 위한 대처방법

 

기후변화

 

기후변화로 인한 야생 동물 서식지가 파괴되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동물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있다. 전염병학, 차단방역 및 공중보건 전문가들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수몰, 가뭄 등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이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이나 목축지로 이동하게 되어 사람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 

 

예를 들면 뇌염의 신종 바이러스 니파(Nipah virus)1998~1999년 말레이시아에서 발생하여 100여 명의 사망자를 냈다. 말레이시아 병리 학회 간행물에 소개된 연구에 따르면, 니파 바이러스의 숙주로 알려진 과일박쥐가 산불과 엘니뇨로 인한 가뭄으로 서식지에서 쫓겨나게 되자 먹이를 찾으러 돼지 농장에 드나들면서 돼지가 박쥐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고, 이후 사람들에게까지 전파되었다고 한다.

 

수의학 저널인 Veterinary Science에 따르면, 지난 80년간 유행한 전염병들은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하며, 70%가 야생동물에 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80년대에 유행한 에이즈 바이러스는 유인원, 2004~2007년에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는 새, 2009년에 발생한 신종플루는 돼지에 의해 비롯되었다. 또한,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했던 사스(SARS)와 최근 유행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옮겨왔다.

 

과거에는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면 단순 일회성 사건으로 생각했으나 지금은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환경을 파괴하고 기존 생태계의 질서를 무너뜨려 사람과 동물의 생활환경 구분이 모호해졌으며, 야생동물과의 빈번한 접촉으로 인해 사람들이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 버지니아 공영 방송 보도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산림 벌채가 바이러스 전파에 영향을 주며 습도 등 기후 조건이 바이러스 전파 속도를 좌우할 수도 있다고 보도하였다.

 

변화하는 지구

 

지구는 지속적인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크게 지구 내부와 지구 표면에서 발생, 그 영향은 지구 생태계와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지구 내부 변화

 

지하수, 지열, 지진 등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화로 지하자원의 이용, 지하수 오염,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인간 생활과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지구 표면 변화


기후 변화, 해수면 상승, 지구 온난화 등 지구 표면에서 발생하는 변화로 지구 생태계의 파괴, 자연재해 발생, 인간 생활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구의 변화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자원 이용 방안 및 기후 변화,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지구 생태계와 인간 생활을 지키기 위한 모든 분야에서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지구/픽사 베이

 

변화하는 감염병

 

감염병은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염병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유전자 변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유전자가 변이 하여 새로운 변종이 생기는 경우로 이러한 유전자 변이는 백신의 유효성을 줄일 수 있으며,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2. 새로운 감염원

 

새로운 동물 종에게서 새로운 감염원이 발견되는 경우로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예방 및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3. 확산 경로 변화

 

염병의 확산 경로가 변화하는 경우로 과거의 감염병은 물, 식품 등을 통한 감염이 주요 확산 경로이지만 COVID-19는 호흡기로 인한 비말 감염이 주요 확산 경로이다. 따라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감염병 발생의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전 세계적인 감염병 대응 체제 구축 등이 필요하다.

 

지구 기온 상승과 뎅기열 확산

 

인수공통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상호 전파되는 바이러스로 일반적으로 '동물이 사람에게 옮기는 바이러스'를 지칭한다.

 

모기와 같은 흡혈 곤충은 인수공통감염병을 전파하는 매개체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운 지역에서만 사는 모기의 서식지가 확대되면서 바이러스도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는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치쿤구니아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아열대와 서반구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는 우간다에서 캐나다로 전파되었다.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 랜싯(The Lancet)2019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기온 상승, 해수 온도 상승, 강우 패턴 변화, 습도 상승 등 기후변화로 인해 말라리아와 뎅기열 등의 질병을 전파하는 모기가 번식하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뎅기열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지난 10년 중 대부분은 2009~2019년 사이에 발생했다. 현재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1도 상승하여 바이러스와 다른 병원체가 유발하는 전염병도 늘어날 전망이다.

 

공공위생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 전문가에 따르면, 기온이 상승하면 변화된 환경 속에서 살아남은 병원체가 사람의 체온에 더 쉽게 적응하기 때문에 체온이 올라간다 하더라도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게 된다.

 

뎅기열/픽사 베이

 

지구와 감염병을 위한 대처방법

 

지구는 생명체들이 공존하는 생태계이며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새로운 환경 변화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생태계가 변하면,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인간의 산업활동과 기후변화로 인해 바이러스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할 수 있다.

 

- 지구는 변화하고, 감염병도 변화함으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적인 위생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

- 전 세계적으로 감염병 대처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정부와 전문가들은 감염병 예방 및 대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국민에게 알리고 이행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감염병 대처는 모든 사람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