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단  방법

 

결핵 진단의 주요 문제는 피나 가래 배양균이 4~12주 정도 느리게 자라므로 실험실에서 배양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결핵균의 완전한 의학 평가는 의학 이력, 신체 검사, 미생물학적인 도말표본검사, 흉부 X-ray, 배양검사, 투베르쿨린 피부 검사와 혈청 검사가 포함되어야 한다.

 

결핵은 임상 표본에서 원인이 되는 신체 기관의 고름이나 가래로부터 확정적으로 진단한다. 불가능한 경우 X-ray 스캔, 투베르쿨린 피부 검사가 사용될 수 있다.

 

치료 방법

 

결핵의 치료를 위해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를 사용하였으나 효과적인 결핵 치료는 어렵다. 미코박테리아 세포벽은 구조와 화학적 구성이 특이하고, 여러 항생제를 무력화하며, 약의 진입을 방해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항생제는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피신이다. 다른 세균들은 단기간 항생제를 사용하지만 결핵은 미코박테리아를 박멸하기 위해서 6개월~2년의 긴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한다. 잠복기의 결핵 치료는 한 가지 항생제를 사용하는데, 활동성인 결핵은 세균이 내성을 갖게 될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여러 항생제의 조합으로 치료한다. 세균이 내성을 갖게 될 위험성을 줄이며 미코박테리아를 박멸하기 위해서이다.  잠복기에  결핵을 치료하는 이유는 이후 삶의 기간에 결핵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결핵은 난치병은 아니지만, 오랜 기간 치료가 필요하다. 보통 3개월 이내에 병세가 호전되지만, 치료는 1년 가까이 계속되며, 약 복용을 중단하게 되면 결핵균 내성이 생기게 되어 치료가 어려워진다.

 

결핵은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질 낮은 약을 사용하거나, 치료가 충분하지 않으면 내성을 얻게 된다. 내성이 있는 결핵은 여러 개발도상국의 공중 보건에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치료 기간이 길어지고, 더 비싼 약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결핵과 동일한 형태로 전염이 되기 때문이다. 가장 효과적인 1차 약제 리팜피신과 이소니아지드에 내성을 가진 경우에는 다제내성 결핵(MDR-TB)이라 하며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XTR-TB)은 여기에 6종의 2차 약제 중 3개 이상에 내성을 가진 경우를 말한다.

 

약/픽사 베이

 

예방법 및 대책

 

세계보건기구인 WHO1993년 결핵을 전 세계적인 보건 비상사태(global health emergency)로 선포

 

1998 3월, 전 세계적인 결핵 유행에 따라 런던에서 개최된 '결핵유행에 따른 제 1차 긴급회의(First Ad hoc Committee on the Tuberculosis Epidemic)'의 결정으로 ‘Stop TB Initiative(이니셔티브)’ 수립

 

2000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결핵 고위험국가(High Burden Countries of TB) 20개국 보건장관이 참석한 '결핵퇴치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관계장관회의(The Ministerial Conference on Tuberculosis and Sustainable Development)'를 통해 결핵퇴치를 위한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암스테르담 선언(Amsterdam Declaration)’ 발표

 

같은 해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보건총회(World Health Assembly)의 승인으로, 2001 WHO Stop TB Partnership 공식 출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400만 명의 생명을 구조하기 위한 '결핵 퇴치를 위한 세계적인 계획(Global Plan to Stop Tuberculosis)을 전개했다매년 발생하는 새로운 결핵 환자의 80%를 차지하는 22개국을 주요 대상으로 시행

 

현재 전 세계 약 1,700여개 개인 및 단체가 협력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미국, 영국 등 26개국에서 국가 차원의 Stop TB Partnership을 설립·운영 중

 

2015 1월부터는 WHO Stop TB Partnership 소관기관이 유엔프로젝트조달기구(UNOPS)로 이관되어 그 위상과 사업 영역이 국제적으로 보다 확대

 

결핵 예방과 통제는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한다.

첫 번째:  결핵 환자와 그 접촉자들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이며 감염의 확인은 결핵 고위험군의 검사와 관련된다.

두 번째: 성인에게 신뢰할 만한 백신이 없으므로 어린이에 백신을 접종하여 결핵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다른 미코박테리아의 종류가 많은 적도 지역에서는 결핵이 아닌 미코박테리아에 대한 노출로 어느 정도 결핵에 대한 방어가 된다.

 

백신 종류

 

많은 나라에서는 BCG(Bacillus Calmette-Guérin) 백신을 결핵 예방 프로그램의 일부로 사용하며 특히 어린이들에게 사용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자주 쓰이는 백신이며 1993년에는 172개국 85%의 어린이들이 면역을 얻었다.

 

 BCG는 결핵의 첫 번째 백신이며 1905년 이후로 앨버트 칼메트와 카미유 게랭은 프랑스의 Institut Pasteur de Lille과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BCG를 개선하였고, 1921년에 처음으로 인체를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제조 과정의 결점에 인한 죽음은 BCG에 대한 대중의 저항을 불러일으켜서 접종이 어려웠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대량 접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어린이들이 결핵성 뇌막염 등 결핵이 심각한 형태가 되는 것을 막아주는 BCG의 방어 효능은 80%를 넘으며 폐결핵을 막아주는 성인에 대한 방어 효능은 0~80%까지 가변적이다.

 

미국에서는 BCG 접종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미국 내의 결핵은 흔하지 않다. BCG는 미코박테리아가 비교적 유행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효과가 줄어들며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사람들은 BCG 백신 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들

 

- 투베르쿨린 반응이 음성이고, 다제내성 결핵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치료되지 않거나, 비효율적으로 치료되는 환자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예상되는 어린이들 

- 다제내성 결핵 환자의 비율이 높고, 감염될 수 있으며, 결핵 예방에 주의를 기울였으나 성공적이지 않은 의료계 종사자들

 

남아프리카 등 결핵이 널리 퍼진 나라에서 BCG3살 미만의 모든 어린이들에게 투여한다. BCG의 단점은 투베르쿨린 반응을 양성화시켜 결핵의 진단이 늦어지게 한다. 결핵균의 빈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BCG의 단점이 크므로 옛 동독, 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등에서 BCG를 중지 후 어린이 결핵이 증가하였다.

 

결핵을 막기 위한 다수의 새로운 백신, 특히 'Aeras'는 'TBVI(TuBerculosis Vaccine Initiative)'에서 개발 중에 있으며 첫 번째 유전자 재조합형의 결핵 백신인 rBCG30이 미국 내에서 NIAID(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후원으로 임상 시험에 들어갔다.

반응형

'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의 연구와 역사  (0) 2023.02.04
결핵의 발병·전염 그리고 역학  (0) 2023.02.01
결핵 발생률 1위  (0) 2023.01.29
결핵(Tuberculosis, TB)  (0) 2023.01.28
엠폭스(MPOX), 원숭이두창(Monkeypox)  (0) 2023.0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