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 내용

 

결핵이란?

 

영어로 tuberculosis, TB라고 하며 여러 종류의 미코박테륨, 특히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흔하면서도 치명적인 전염병이다. 옛말로는 백사병(white death), 가슴앓이(consumption), 노체라고 불렸으며 결핵균은 1882년 미생물학자인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발견되었다. 1950년대 항결핵제 개발 전까지 치료가 어려운 질병이었다..

 

치료방법

 

안정, 영양, 맑은 공기와 햇볕 쬐기가 치료법의 전부였으며 수술은 감염부위를 폐쇄시키는 수술방법이었다..

 

전형적인 증상

 

피가 섞인 가래를 동반한 기침, 식은땀, 오한, 체중 감소이며 다른 기관에의 감염은 다양한 증상을 초래한다. 진단은 X-레이, 투베르쿨린 반응, 혈액 검사, 체외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검사, 체액 배양, 현미경 검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이용한 검사이 있다.

 

결핵균은 인체의 어느 곳에나 발병하며 전염성인 동시에 감염성인 급성질환이고 만성질환이라 수천 년 동안 인류에게 질병을 일으켜 왔다.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는 무서운 질병이다. 결핵은 특히 폐에 잘 걸리며 약 85% 정도가 폐에서 발생, 혈류나 임파관을 따라 몸의 각 기관으로 전파되어 영향을 준다. 결핵은 환자의 기침, 가래, 콧물로부터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 많은 감염자들은 활동성 결핵이 나타나기 전까지 증상이 없으며, 1/10 정도가 발병한다. 발병 후 치료를 하지 않으면 절반 이상이 병으로 사망하게 된다.

 

투베르쿨린 반응검사/픽사 베이

 

결핵의 치료

 

상당히 어렵고 길며, 치료 과정에 여러 항생제가 투입된다. 필요한 경우, 폐의 공기로부터의 접촉을 차단하거나 관리하기도 한다. 다제내성 결핵에 있어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문제가 커지고 있으며 예방은 격리와 백신인 BCG 접종에 의존한다.

 

결핵 분포

 

- 선진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걸리고 있는데, 이들의 면역계가 면역억제제와 지속적인 남용, AIDS에 위협받기 때문이다.

-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는 약 80%의 인구가 투베르쿨린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나타나며, 미국에서는 5~10%만이 양성 반응을 보여 결핵의 분포는 전 세계적으로 균등하지 않다.

- 매년 결핵을 앓는 사람들의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조금씩 줄고 있으나, 인구 증가로 새로운 환자의 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 세계 인구의 1/3이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추정되며 매초 1명 꼴로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

- 2007년에는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약 1,370만의 만성 질환자가 있고, 930만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 180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핵 원인

 

결핵의 주요 원인은 결핵균으로, 작고, 호기성의 운동 능력이 없는 간균이며 내부가 고지방질로 되어 있는 특이한 성질을 갖는다. 결핵균은 매 16시간~20시간마다 분열을 일으키는데, 보통 1시간 내에 분열하는 다른 박테리아에 비해 매우 늦은 속도이다. 결핵균은 세포벽이 있으나 인지질의 외막이 부족하여 그람 양성 박테리아로 분류되지만 세포벽 지방질이 높고 미콜산을 함유하고 있어 그람 염색에서 매우 약한 그람 양성 반응을 보여 염색 상태를 유지하지는 못한다. 결핵균은 약한 살균제에 죽지 않으며, 건조한 상태인 내성포자로 수 주를 지낼 수도 있다. 보통 박테리아는 숙주의 세포 조직에서만 성장할 수 있지만, 결핵균은 체외에서도 배양이 가능하다.

 

결핵균군은 4가지의 결핵을 유발하는 항산균이 있으며, M. bovis(우결핵균), M. canetti, M. africanum, M. microti 등이다. 우결핵균(M. bovis)은 한때 결핵의 주요 병원균이었으나, 저온 살균법의 도입으로 선진국의 공중 보건 문제로부터 제거되었다. M. canetti는 드물며, 아프리카에 한정된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경우는 아프리카 이주민에게 발생하기도 한다. M. africanum은 널리 퍼지지는 않았지만, 일부 아프리카에서는 결핵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며 M. microti는 보통 면역이 결핍된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또 다른 병원성 항산균으로는 'Mycobacterium leprae', 'M. kansasii', 'Mycobacterium avium' 등이 있다.

 

가래 샘플에 대한 조직학적인 착색을 이용하여, 현미경으로 결핵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산성 용액으로 처리한 후에도 분명한 착색을 유지, 항산균(AFB)으로 분류된다. 가장 흔한 항산성 착색 기술인 질-닐슨 염색(Ziehl-Neelsen stain)은 항산균을 파란색 배경에 분명하게 눈에 띄는 선홍색으로 물들인다. 항산균을 보이게 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오라민-로다민 염색(auramine-rhodamine stain)과 형광현미경이 쓰인다.

 

증세 및 징후

 

공기를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서 폐에서의 증상 발현이 많으나, 임파조직, 중추신경(수막염), 혈류(속립 결핵), , 관절, 비뇨생식기 등에도 감염되어 증상을 나타내는 기관이 전신에 이른다. 결핵균은 다양한 기관에서 세포 내 기생하며, 면역 시스템이 숙주세포와 함께 공격하므로, 광범위한 조직이 파괴된다. 결국 방치하면 위중한 상태가 되어 높은 빈도로 사망에 이른다. 폐결핵에서의 심한 폐출혈과 이에 따른 객혈, 질식사가 병의 증상을 나타낸다.

 

폐 감염 시 증상은 개혈, 흉통, 3주 이상 오래 지속되는 기침, 객담은 누렇고 끈적이는 점액성, 호흡 곤란, 늑막통을 동반한다. 전체적인 증상으로는 오한, 고열, 식은땀, 체중 감소, 식욕 감퇴, 얼굴 창백, 쉽게 피곤해지는 증상이 있다.

 

다른 부위 감염은 폐로부터 옮겨가, 다른 종류의 결핵을 발생시킨다. 어린이나 면역이 억제된 사람에게서 잘 일어난다. 발병 부위는 수막염의 경우 중추 신경계, 흉막염의 경우 흉막, 연주창의 경우 림프계, 척추에 발생하는 포트 병의 경우 뼈와 관절, 비뇨 생식기 결핵의 경우 비뇨생식기계가 된다.

 

특히 심각한 형태는 산재된 경우인 속립 결핵이며 폐 외부의 결핵은 폐결핵을 동반할 수도 있다.

 

결핵의 위험 요소

 

규폐증이 결핵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다양한 실내·외 대기 오염원의 질병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실내에서 이산화규소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시멘트, 페인트, 콘크리트를 들 수 있다. 결정 실리카는 콘크리트, 사암, 석조물, 페인트, 바위 기타 연마제에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들을 절단, 파쇄, 파괴, 연마, 천공하면 미세한 실리카 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 지붕판자, 회반죽에 있을 수도 있으므로 먼지가 묻은 옷을 집이나 차 안에서 입는 것은 실리카 먼지를 옮기는 행위가 될 수 있다.

 

규폐증 환자

 

결핵이 발병할 위험성이 30배 정도 크며 이산화규소인 실리카의 먼지 입자들이 호흡기를 자극하여 식작용과 같은 면역 반응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는 림프액이 많이 고이게 한다. 이러한 대식세포의 봉쇄와 간섭이 결핵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혈액 투석 중이거나 만성 신장 부전증 환자

 

일반사람의 10~25배 정도 위험이 높아진다.

 

당뇨병 환자

 

결핵이 발병할 확률이 2~4배 높아지며, 인슐린에 의존하거나 당뇨병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더 높아질 수 있다.

 

저체중 환자

 

체질량 지수(BMI)18.5 미만인 경우, 결핵 위험은 2~3배 높아지며 체질량의 증가는 위험성을 줄인다.

 

기타 관련 환자

 

위절제술 환자로 체중이 감소하거나 영양분이 흡수되기 어려운 경우, 신장 또는 심장 이식, 공회장의 우회, 폐암, 백혈병, 림프종, 머리나 목의 암 등이 있다.

반응형

'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의 진단 및 치료  (0) 2023.01.31
결핵 발생률 1위  (0) 2023.01.29
엠폭스(MPOX), 원숭이두창(Monkeypox)  (0) 2023.01.28
로타바이러스(Rotavirus)  (0) 2023.01.26
비말 매개 질병 및 공기 매개 질병  (0) 2023.01.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