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질병관리청,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202581, 질병관리청이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전남 완도군에서 채집된 모기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의 60.1%를 차지하면서 경보 발령 기준에 도달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725일 대비 1주 늦은 발령으로, 올여름 지속된 폭우와 폭염의 영향으로 모기 개체수가 평년보다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질병관리청 2025.08.01

 

일본뇌염이란? 증상과 위험성

일본뇌염의 주요 증상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초기 증상

  • 발열
  • 두통
  • 가벼운 감기 증상

뇌염 진행 시 심각한 증상

  • 고열
  • 발작
  • 목 경직
  • 착란과 경련
  • 마비 증상

일본뇌염의 치명적 위험성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사망률이 20~30%에 달하며, 회복되더라도 환자의 30~50%는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 환자의 90%가 발생하므로 중장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특징

작은빨간집모기의 생태적 특성

  • 서식지: 논, 축사, 웅덩이 등
  • 외형: 암갈색 소형모기, 주둥이 중앙에 넓은 백색 띠
  • 활동시간: 주로 야간 활동
  • 활동기간: 8~9월 밀도 정점, 10월 말까지 활동

이 모기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아시아 전체에서 발견되는 일본뇌염의 주요 매개체입니다.

 

작은빨간집모기, 질병관리청 2025.08.01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자와 접종 방법

국가예방접종 대상자

  • 12세 이하 어린이(2012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는 표준 예방접종 일정에 따라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질병관리청 2025.08.01

 

성인 예방접종 권장 대상 (유료)

다음에 해당하는 18세 이상 성인은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

1. 고위험 지역 거주자: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 거주자

2. 외국인: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

3. 해외여행자: 일본뇌염 위험국가 여행 예정자

일본뇌염 위험국가 목록

호주,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말레이시아, 네팔, 북한,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리랑카, 대만,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

 

일본뇌염 모기물림 예방수칙 완벽 가이드

야외활동 시 예방수칙

시간대 조절

4월~10월 야간 야외활동 자제 (일몰 직후일출 직전)

복장 및 용품

  • 밝은 색 긴 옷, 품이 넓은 옷 착용
  • 노출된 피부에 모기 기피제 사용
  • 옷, 신발 상단, 양말에도 기피제 도포
  •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실내 보호조치

  • 방충망 정비 및 모기장 사용

가정환경 관리 방법

서식지 제거

  • 집 주변 물 웅덩이 제거
  • 막힌 배수로 청소
  • 고인 물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

방충시설 점검

  • 방충망 상태 정기 점검
  • 모기장 사용 생활화

 

일본뇌염 발생 현황과 통계

최근 5년간(2020~2024) 국내 일본뇌염 환자는 총 79명이 신고되었으며, 이 중 90%50대 이상에서 발생했습니다. 환자의 79.7%에서 인지장애, 마비, 언어장애 등의 합병증이 확인되어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2025.08.01

 

일본뇌염 경보 발령 기준

주의보 발령 기준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 빨간 집모기 당해연도 최초 채집 시

경보 발령 기준 (다음 중 하나 이상)

1. 작은 빨간집모기 500마리500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2. 채집 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분리

3. 채집 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4. 일본뇌염 환자 발생

 

마무리: 일본뇌염 예방은 선택이 아닌 필수

여름철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시기에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개인 방역수칙 준수와 예방접종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과 위험지역 거주자, 해외여행 예정자는 반드시 예방접종을 고려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 임승관 청장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일정에 맞춰 접종을 받아달라"라고" 당부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