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G와 국제동향

2000년대 초반 ESG의 용어와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비슷한 움직임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 1972년 로마클럽의 보고서 성장의 한계(The Limits to Growth)’에서 인구, 환경, 식량, 자원 등의 문제로 성장이 정체될 위기임을 지적하였다.

- 1987 UNEP·WCED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를 발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미래 해법으로 제시하였다.

- 2000 UN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논의가 대두되었다. UN은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채택하여 빈곤타파를 위한 범세계적 의제로 8대 실행목표  빈곤과 기아 퇴치  교육의 개선  남녀평등  유아사망 감소  임산부 건강 개선  에이즈/말라리아 등 질병 퇴치  환경보호  전 세계적 협력 구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를 중요 과제로 인식하고 실행목표를 제시하였다.

 

ESG의 태동과 확대를 보면 유럽의 학자와 기업가, 정치인 등이 참여해 인류와 지구의 미래에 대해 연구하는 비영리 기관이 생겼으며 당시 세계환경개발위원회 위원장이었던 수상의 이름을 이용하여 브룬트란트 보고서(Brundtland Report) 라고도 한다.

 

교육/픽사베이

 

ESG의 부상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지속가능성이해관계자를 고려한 기업 경영을 강조하였다.

- 2020, 세계경제포럼(WEF)20201월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포럼에서 화합하고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이해관계자들을 핵심의제로 설정하였다.

- 20209에 지속가능한 가치 측정 가이드라인 백서인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측정(Measuring Stakeholder Capitalism)’을 발간하였다. 세계경제포럼의 행보는 주주 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대변하는 키워드인 ESG가 부상하였다.

- 세계 최대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CEO 래리 핑크는 고객에게 보내는 연례서한에서 지속가능성을 회사의 핵심 투자기준으로 삼고 ESG를 적극적으로 투자에 적용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아울러 투자대상이 되는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에게는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경영을 수행하고 관련된 정보를 충실히 공시하도록 요청하였으며 요청사항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기업의 경영진에 대해서는 주주총회에서 반대표를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글로벌 금융기관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자 기업들로서는 ESG경영을 실천하지 않을 수 없었고, 이에 ESG는 전 세계 기업들의 최대 이슈로 부상하였다.

-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즉시 파리기후협약에 복귀하고, 선거 과정에서도 기후변화, 친환경에너지 등 환경에 관련된 공약들을 발표하였다. 대선 기간 중 트럼프는 증시에만 신경 쓴다고 비판하면서 주주자본주의를 끝날 때가 왔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주주자본주의는 기업이 주주에게만 책임진다는 생각이나, 기업은 근로자, 지역 사회, 국가에 대한 책임이 있음을 강조하며 주주자본주의를 끝낼 시간이라고 하였고, 새롭거나 급진적인 개념이 아님을 강조하였다

 

반응형
반응형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는 기업이 경제적인 성과를 달성하면서도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한 경영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ESG, CSR, CSV 등 비슷한 개념이 사용되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투자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므로 수치화 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에 투자에 참고할 수 있도록 ESG등급을 산출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가장 구체적으로 정의하며 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기업경영 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여 취득한 이윤을 사회에 환원할 의무가 있음을 주장하며 자선활동, 기부, 환경보호 등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강조한다.

 

기부/픽사베이

 

CSV(Creating Shared Value)

공유 가치 창출을 말하며 기업경영 시 기업가치와 사회가치를 모두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사회적 책임이 기업 본연의 경영활동과 함께 이루어진다고 보는 측면에서 CSR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하게 주장한다.

 

책임/픽사베이

 

 

CSR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해 부가적으로 활동을 하여야 한다는 개념이나, ESG는 기관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자의 요구로 시작된 것으로 투자 지표로 많이 활용한다. ESG는 기업의 자발적 사회공헌이나 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라, 비재무적 요소임에도 기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수익 창출을 하기 위해서는 고려해야만 하는 장기 투자이며 리스크 관리 전략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ESG와 의료기관 감염관리' 제목으로 AI가 만들어준 목차이다. 2024년 2월 28일 마무리를 목표로 '글공장글쓰기' 챌린지를 진행중인데 무사히 마무리 되길 기원하며 책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한다.

 

ESG와 의료기관 감염관리

 

지배구조/픽사베이

 

 

1. 서문


   - ESG의 개념과 중요성
   -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중요성과 도전 과제

 

2. ESG와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연관성


   - ESG가 의료기관 감염관리에 미치는 영향
   - ESG 원칙을 적용한 의료기관 감염관리 사례(국내/해외)

 

3. ESG 측면에서의 의료기관 감염관리 전략

 

   - 환경 (E): 의료 폐기물 관리, 에너지 효율성 개선
   - 사회 (S): 환자 안전, 직원 건강과 안녕, 사회적 책임
   - 지배구조 (G): 투명한 의사결정, 윤리적 경영

 

4. 의료기관에 적용되는 ESG 평가 지표


   - ESG 평가의 개요와 중요성
   - 의료기관에 적용되는 ESG 평가 지표 소개

 

5. 의료기관의 ESG 관리 도구와 방법론


   - ESG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소개
   - 의료기관에서의 ESG 관리 도입 방법론

 

6. 의료기관 감염관리와 ESG의 미래


   - 코로나19 팬데믹과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변화
   - ESG가 의료기관 감염관리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7. 결론


   - ESG와 의료기관 감염관리의 융합의 중요성
   - 앞으로의 전망과 도전 과제

반응형

'ESG와 의료기관 감염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의 국제동향 및 부상  (0) 2023.12.31
ESG와 CSR, CSV 비교  (0) 2023.12.31
ESG 개념  (0) 2023.11.07
기후변화와 감염병 예방, 전략과 대처  (0) 2023.06.05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 위험요소  (0) 2023.05.28
반응형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이며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이다.

 

출처: KRX ESG 포털

 

 

ESG 정의는 기관별 설립 목적 및 사업의 특성, 이해관계자의 차이에 따라 상이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ESG 각 요소별 핵심요소는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환경(Environmental)

 

환경오염 및 환경규제, 기후변화 및 탄소 배출, 자원 및 폐기물 관리,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에너지 효율, 책임있는 구매·조달 등이 있다.

 

 

환경오염/픽사베이

 

사회 (Social)

 

데이터보호·프라이버시·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 고객만족, 지역·사회 관계, 근로자 안전, 공급망 관리 등이 있다

 

인권/픽사베이

 

지배구조 (Governance)

 

뇌물 및 반부패,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기업윤리, 로비 및 정치 기부, 컴플라이언스, 공정경쟁 등이 있다.

 

최근,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평가 기준이 재무적지표 중심에서 비재무적지표까지 확대되었다.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피치(Fitch Ratings), S&P(Standard & Poor’s Global) 등에서 ESG 평가 결과를 신용등급에 반영하고 있으며 S&P Global의 경우, 환경오염이나 탄소배출량, 안전보건, 내부통제, 리스크 관리 등으로 분류하여 조정 사유에 해당하는 기업에 대해 신용등급을 조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SG 평가기관은 기업 수준의 양적·질적 정보를 활용하여 ESG 등급을 산출하고 있다. 재무 및 비재무데이터 확보를 위해 설문지 등을 활용하거나 기업 또는 기타 정보 출처에서 생성된 공개 정보를 검토하고 있으며 주요 ESG 평가기관이 다루는 기업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으며, 대부분의 각 평가기관은 1,000~10,000개 기업을 포함하고 있다. ESG 평가는 평가기관의 데이터 수집 방법에 따라 크게 공개정보기반설문기반두 가지로 구분되며 공개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해외 ESG 평가의 주체는 크게 MSCI, FTSE Russell과 같은 지수 및 데이터 사업자와 Sustainalytics, ISS 등의 ESG 전문 분석기관으로 분류되어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